고려 말엔 개혁파 신진사대부의 일원인 동시에 보수파 이인임의 조카사위로 두 세력을 아우르며 출세 가도를 달렸지만, 조선이 건국되자 구세력으로 몰려 정치무대의 낙오자가 되었다.
반응형 태종 이방원• 방송 말미 공양왕이 조정의 수장 자리에 이성계가 아닌 이색과 변안열을 임명했고, 정전은 극도의 긴장감이 감돌며 큰 일이 벌어질 것을 암시했다.
최종 작호는 여흥부원군 여흥 민씨 가문의 수장이자 당대의 대학자로 진중하고 고매하여 모두의 존경의 받는 인물이다.